"이거 어찌되는겨.." 느린 반기문에 속타는 忠心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중심으로 불타오르던 대망론의 기세가 주춤하다. 반 전 총장의 귀국 초반 행보가 지지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지지율이 지지부진하다. 기대했던 국내 세력화도 다소 더딘 양상을 보이면서 충청민심의 속내도 덩달아 복잡해진다.
반 전 총장은 조기대선이 가시적인 상황에서 충청 보수층의 거의 유일한 대안이었다. 하지만 귀국 후 행보는 순탄치 않았다. 야권으로부터 친인척 비리 의혹이 제기됐다. 또 본인의 설화로 인해 구설에 올랐고 캠프 내 알력이 부각됐다.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다. 반 전 총장 스스로도 "조바심이 있는 상황에서 서툰 점이 많았다"고 할 정도다.
반기문 캠프의 예상 외로 더딘 행보에 충청민심도 복잡해졌다. 국정농단 파문의 여파로 이른바 '문재인 대세론'은 이미 전국적 추세로 자리를 잡고 있다. 또 충남에서는 안희정이라는 걸출한 야권 지도자가 대권행보를 시작했다. 게다가 대전은 전통적으로 강한 호남세가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
게다가 기대됐던 보수진영의 반기문 쏠림 현상도 아직 본격화되지 않고 있다. 반 전 총장이 바른정당 합류나 신당 창당보다는 빅텐트를 염두에 둔 제3지대 행보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반 전 총장은 김종인 전 민주당 비대위 대표와 정의화 전 국회의장을 만난데 이어 손학규 고문과도 회동할 예정이다.
나름의 큰 그림을 그리는 반 전 총장이지만 신호만 기다리고 있는 보수진영 국회의원들은 속이 탄다. 한 충북 출신 의원은 "준비는 하고 있지만 지금 나간다 해도 갈 곳이 없다"며 "반 전 총장이 정당이나 결사체에 소속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소속으로 나갈수야 있겠느냐"고 말했다.
연휴 이후 반 전 총장이 뚜렷한 노선을 정하고 본격적인 대선행보에 나선다면 쏠림이 본격화되면서 판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미 새누리당에서 충청권을 중심으로 상당수 의원들이 반 전 총장측 합류를 기정사실화 한 상황이다. 여기에 일부 수도권 의원들도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소야대 상황에서 보수진영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 할 정도로 지지율 격차가 크지만 본선이 보수와 진보, 각 단일후보의 싸움이 될 가능성도 있다. 대선이 끝내 구도싸움이 된다면 충청지역의 표심이 막판 변수가 될 가능성은 살아있다. 충청표심을 놓고 진보진영의 관리와 보수진영의 반전이 필요한 이유다.
저작권자 © 이슈메이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