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 미칠 파장에도 관심
[이슈메이커=손보승 기자]
몰락한 ‘공유경제의 상징’
한때 기업 가치가 62조 원에 이르던 세계 최대 공유 오피스 기업 ‘위워크(WeWork)’가 파산 위기에 놓였다. 2010년 설립된 위워크는 기업들의 근무 문화를 바꿨다는 평가를 받으며 ‘혁신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으나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가 확산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며 회사 경영진마저 지속 경영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상태다.
상장 폐지 절차 밟는 위워크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지난 8월 23일(현지 시각) 위워크 상장 폐지 절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위워크는 30거래일 연속 주가가 1달러를 밑돌아 올해 4월 18일 상장 폐지 요건을 충족했다. 기업 역시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문서를 통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상당한 의구심이 있다”며 “유동성과 수익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구조조정, 자산 매각, 미국 파산법에 따른 구제 등 모든 전략적 대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실제 위워크는 SEC 제출 문서에서 “고객 수가 예상보다 빠르게 이탈해 현금 부족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위워크가 올해 하반기부터 2027년 말까지 내야 하는 임대료는 100억 달러로 알려졌는데, 2028년부터는 150억 달러를 추가 부담해야 하는 반면 6월 말 현재 보유 현금은 2억 500만 달러에 그친다.
위워크는 설립 이후 스타트업의 교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사무실의 미래’라는 말을 들으며 일약 스타 기업으로 떠올랐다. 2019년에는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이끄는 비전펀드로부터 기업 가치를 470억 달러로 인정받았고, 한때 지점 수가 800개를 넘기도 했다.
하지만 기업공개(IPO) 추진 과정에서 회사 설립자인 애덤 노이만 전 CEO에게 권한이 집중된 지배구조와 방만 경영, 각종 기행으로 구설에 올랐고 결국 IPO도 연기됐다. 여기에 2020년부터 코로나 여파로 재택근무가 확산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기업들이 사무실 출근을 재개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재택근무가 많아 매출은 분기별 8억 달러 중반 수준에서 정체돼 있으나 금리와 인건비 상승 여파로 비용은 급증해 매 분기 수억 달러에 달하는 적자를 내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2021년 10월 미 뉴욕증시에 입성했지만, 주가는 22개월 동안 99% 폭락했고 기업 가치 역시 4억 달러로 쪼그라들었다. 결국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위워크 투자는 어리석은 일이었다. 내가 틀렸다”고 시인했다.
지속 가능한 성장 위한 수익모델 발굴 절실
위워크가 파산보호를 신청하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위워크는 6월 기준 39개국에서 777개 지점을 두고 있는데, 오피스 매물이 쏟아지면 부동산 시장 전반에 큰 혼란을 야기하고 금융권으로까지 위기가 퍼질 수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위워크가 빌렸던 임대 매물이 쏟아지면서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크게 흔들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영국 매체 텔레그래프도 “위워크 파산 가능성으로 런던 건물주들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19개의 위워크 지점을 보유한 한국도 위험에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위워크는 2016년 8월 강남점을 시작으로 광화문, 삼성동, 서울역 등 국내 주요 지역에서 19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핵심 업무지역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보니 이들 지역에서 매물이 쏟아지면 시장 전반에 공실률 상승, 임대료 하락 등의 ‘나비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국내 업계는 큰 동요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위워크 본사의 문제일 뿐, 한국 시장은 괜찮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실제로 위워크 한국법인은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 위워크코리아는 지난해 매출 1,229억 원, 영업이익은 393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3.2%, 영업이익은 6.3% 증가한 수치다. 이는 한국 오피스 시장의 상황이 미국과 다른 데서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 코로나 엔데믹과 동시에 기업이 정상 출근에 나서며 오피스 수요도 살아났기 때문이다. 서울 주요 지역의 상업용 부동산은 공실률이 1.8%(올해 2분기)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지기도 했다.
하지만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도 있다. 빈약한 수익 구조 탓에 호황과 불황을 반복하는 부동산 경기를 고려하면 언제든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속 가능한 성장의 기반을 위한 수익모델 발굴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