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Focus
우리 사회속의 ‘다문화가정’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소득 2만 달러, 인구 5천 만명의 ‘20-50클럽’에 가입한 국가로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아시아의 중심 국가로 성장하며 수많은 외국 이주민들이 정착하는 글로벌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 거주 외국인들과 그들이 이룬 가정의 삶과 문화를 사회에 녹여내는 역할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며 정부와 자치단체, 사회의 인식은 어떠한지, 대한민국 속의 다문화가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외국인 1만명 이상 밀집거주지역 42개 시대
행정안전부는 2012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한 ‘201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포함된 외국인 주민은 한국국적 기화자, 기체류 등록 외국인, 외국인 주민 자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외국인 부모 또는 외국인과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는 16만8천583명으로, 작년보다 1만7천429명 늘었다고 한다. 이는 5년 전인 2007년 4만4천258명보다는 무려 3.8배나 늘어난 것으로 전체 외국인 주민 중 한국 국적을 갖지 않은 사람은 79.3%인 111만7천481명, 한국 국적자는 20.7%인 29만2천96명이라고 밝히고 있다.
다문화가정에 대한 각종 통계자료들은 그 수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현재 한국사회가 급속한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으며 UN이 지정한 이민국가로 될 정도로 대한민국이 다문화 사회로 열리고 있음을 말해준다.
박동훈 행정안전부 지방행정국장은 “외국인 주민이 수도권과 지방공단지역을 중심으로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1만명 이상 밀집거주지역이 42개 지자체에 이르는 만큼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지자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지자체의 외국인 주민들을 위한 전담부서 설치 및 통합조례 운영, 밀집지역 범죄 방지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 마련 등 적극적 행정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국인 전용 주민센터 서울만 9곳
지난 2008년 6월 문을 연 ‘서래글로벌빌리지센터’에는 인근 거주 외국인 주민들이 하루 평균 10여명 가량 들러 고충을 해결하고 있다. 서래마을에는 프랑스인들을 비롯해 다양한 인종의 외국인들이 모여 사는 동네로 이들이 실생활에서 느끼는 불편을 줄여주는 기관의 필요하다는 요구를 받아들여 ‘서래글로벌빌리지센터’가 생겨난 것이다. 이곳에서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쉽게 배울 수 있는 강좌 등 외국인 주민들이 한국 생활에 쉽게 적응하도록 돕는 것부터 시작해, 케이블 TV 신청, 각종 세금 및 과태료 납부 등 소소한 민원까지 해결해주고 있다.
이러한 외국인들의 정착을 돕는 ‘글로벌빌리지센터’는 2008년 1월 마포구 동교동 ‘연남글로벌빌리지센터’를 시작으로 2009년 9월 영등포구 대림동 ‘영등포글로벌빌리지센터’까지 외국인들이 모여 사는 거리마다 하나 둘 들어서 현재는 서울 시내에 모두 9곳이 있다. 서울 각 지역 ‘글로벌빌리지센터’는 2009년 7만8442명에서 2011년 14만1426명으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서울시 김명주 외국인생활지원과장은 “외국인 밀집지역 위주로 센터를 세웠는데 한국 문화와 한국어 교육 등 외국인들이 생활 속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반응이 좋다”며 오는 10월 중구 광희동에 ‘광희글로벌빌리지센터’를 여는 등 외국인 지원 시설을 지속적으로 건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로벌빌리지센터’는 지역적 특성과 출신 국가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만들고 다문화시대에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을 위해 생활 속에서 겪을 수 있는 각종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들에게 길잡이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갈수록 높아지는 외국인들의 위상
지역마다 외국인들이 늘면서 곳곳에 외국인 마을과 거리가 조성되고 있다. 8월 9일 행정안전부 조사에 따르면 300명 이상 외국인이 사는 외국인 마을 수는 전국에 103곳에 달하고 있다. 정북현 한국다문화가족지원연대 사무총장은 “기존에는 외국인들이 단순히 우리 사회에 끼여 사는 구조였다면 이제는 그들만의 빌리지를 만들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라고 말했다. 경남 거제시 옥포동에는 노르웨이 클럽과 덴마크 레스토랑이 들어서 마치 유럽에 온 것과 같은 느낌이 들게 한다. 최희순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외국인 140만 명 시대는 한국의 위상이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외국인 빌리지를 상생과 관광 자원화의 눈으로 관리·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2012년 3월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에는 외국인 특별순찰대가 생겨나는 등 빌리지 조성 외에도 사회적으로 봉사하는 외국인 조직도 생겨나고 있다. 외국인 특별순찰대는 범죄율이 높은 지역에 자체 인력만으론 방범활동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경찰의 제안에 따라 결성했다. 이는 외국인에게 거주민으로서 책임감을 부여해 공동체의식을 갖게 한 것으로 상당히 긍정적인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안산시 경찰 관계자는 “외국인 특별순찰대가 활동한 이후 원곡동 외국인 범죄 발생 건수가 10%가량 줄었다”며 앞으로 순차적으로 외국인 순찰대의 활동 범위를 늘려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 사회적으로도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외국인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계 한국인 이참(본명 Bernhard Quandt. 58)은 1986년 대한민국에 귀화하여 방송인으로 입지를 넓혀오다 2009년 7월 한국관광공사 사장에 임명되었다. 또한 이자스민(Jasmine Lee. 35)은 필리핀 민다나오 섬 다바오 인근 파나보 출생으로 1998년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고 방송인 겸 배우로 활동하다가 출신으로 제19대 총선거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 15번으로 출마하여 당선돼 갈수록 높아지는 외국인들의 위상을 단편적으로 보여줬다.
‘반다문화 정서’ 해소 과제도 남아
최근 한국여성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를 비롯해 폭행이나 절도 등 우리나라 거주 외국인 범죄가 크게 늘면서 반다문화 정서도 무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반다문화에 대한 인식은 외국인 또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혐오나 배척 현상으로까지 이어지는 제노포비아(Xenophobia) 현상을 일으키며 사회적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이처럼 아직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만 흘러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학교에서는 부모가 중국동포 출신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왕따를 당하는 등 아직 우리사회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 개선 문제도 남아있다. 정부의 다문화정책이 다각도로 마련되고 있지만 주로 행정지원에 쏠려있다 보니 정작 필요한 국민의식 개선에는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인실 서강대 경제학과교수는 “다문화가정을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하면서도 차이를 인정하는 다문화주의가 전제돼야 하는데, 혈통 위주의 지원정책이 많고 이민자를 주류사회에 일방적으로 적응시키는 것은 동화주의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단일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이 아닌 다문화를 껴안는 포용적 사회로 가기 위한 선제적 전략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조원권 한국다문화가족정책연구원장은 “우리 사회는 개방된 사회를 지향하고 있지만 혈연을 강조하고 다른 문화를 배타적인 시선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단일민족이라는 그릇된 가치관에 묶인 채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다문화 가정에서 자란 자녀들은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보다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어 국제화 시대에 글로벌 인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문화가정’ 외국의 사례는 어떤가
미국이나 프랑스는 외국인들이 오랫동안 공동체를 이루며 독특한 문화와 빌리지를 형성해 왔다. 프랑스의 외국인 거주자 수는 500만 명으로 인구의 8%에 달한다. 과거 대부분 가난한 노동자들로 도심 곳곳에 빈민촌을 형성하며 사회 문제를 일으키자 프랑스는 ‘1998년 차별금지법’을 제정해 지자체별로 ‘차별철폐 지역’을 따로 관리하고 있다. 파리 11구의 ‘퐁텐느오르와’ 지구는 주민의 북아프리카·동유럽 출신을 중심으로 인구의 15%가 외국인이다. 이에 파리시는 2007년 ‘사회통합 도시협약’을 시행해 이 지역에 교통·문화·상업 시설을 확충해 지원하고 있다. 파리시 관계자는 “무조건적으로 외국인 빌리지에 지원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몇 개의 외국인 빌리지는 집중 관리·지원하고 나머지는 지원을 덜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 이민자 사회로 손꼽히는 미국은 외국인 빌리지를 제한적 범위 내에서 관리한다. 미국정부는 외국인 빌리지의 문제점을 고쳐 모범적인 타운이 생기도록 유도하고 있다. 뉴욕시는 자벌적으로 생긴 리틀 이탈리아(Little Italy)나 차이나타운(Chinatown) 등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이민자들에 의해 형성된 LA 코리아타운은 7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가 그 역사가 시작됐지만 실제 행정구역으로 지정된 것은 우리 동포들이 목소리를 모은 2008년 11월에 이르러서다.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도심 곳곳에 외국인들이 살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인구 508만 명 중 185만 명이 외국인이다. 주로 금융·정보기술(IT) 등 화이트칼라층이 많아 싱가포르 정부는 적극적인 영주권 정책을 펴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지난해 외국인 54만 명은 영주권을 받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런 사례들을 참고해 외국인 빌리지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필요성과 우리나라만의 ‘외국인 다문화가정’관리 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2012년 4월 29일은 LA 폭동이 발생한 지 꼭 20년이 되는 날이었다. 우리 동포들이 그날 겪은 비극은 단순한 비극이 아닌 다문화사회에서 더불어 사는 것이 어떤 서러움인가에 대해 깨닫게 한 사건이기도 했다. 다문화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현실에 맞는 국가적 대책과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