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메이커=신화통신] "중국에 열 번 가봤는데 기회가 되면 다시 가고 싶어요." 부산 국가지질공원의 한 직원이 중국에서 온 취재진을 보고 먼저 다가가 인사를 했다. 5일간의 방문 기간 동안 '교류 심화' 및 '상호 왕래 증가'의 분위기는 곳곳에서 감지됐다.
취재진의 첫 방문지는 한국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다. 전권호 지구환경연구과 연구관의 소개로 한국도 과거 심각한 환경오염 단계를 거쳤으며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눈에 띄는 발전을 이뤄 "새로운 출발점에 섰다"는 것을 알게 됐다.
전 연구관은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데 있어 중국과 비교적 양호한 협력 기반을 가지고 있다면서 앞으로 협력 공간을 새롭게 넓히고 싶다고 전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과학연구 데이터를 중국과 더 폭넓게 공유할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하늘은 파랗고 구름은 하얗다. 푸른 나무들은 그늘을 이루고 새떼들은 맑은 낙동강을 날아가고 있다. 부산 을숙도 철새공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한국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 서울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 인사들은 한·중 양국이 모두 환경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각자 성공한 경험이 있으니 더 많은 교류와 깊은 교감을 나누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근 열린 '제9차 중∙일∙한 지도자회의'에서 3국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탄소중립 등을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김종성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바다를 마주하고 있는 이웃으로서 해양환경 연구, 특히 해양오염 문제에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해 노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해양대학교 연구진도 해양오염 방지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주변국 간 협력 연구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중∙일∙한 지도자회의에서는 환경 협력 외에도 인적, 문화 교류의 확대도 강조됐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맥이 통하는 배경을 기반으로 중국과 한국 두 나라는 문화 교류를 강화하고 민간 우호를 추진할 수 있는 충분한 동력을 갖고 있다는 설명이다.
부산대학교 몇몇 한국 학생들은 중국을 방문하고 현지 풍습을 경험하길 바라고 있었다. 반대로 부산대학교에서 공부하는 중국인 유학생들도 직접 그 나라에서 살고, 공부하고, 일을 해야 진정으로 그 나라를 이해할 수 있다며 감회를 밝혔다.
"화이부동(和而不同∙서로 조화를 이루나 같아지지는 않음)이지만 아름다운 목표를 추구하는 것은 같습니다." 많은 인터뷰 대상자는 이 같은 견해를 전했다.
한정훈 푸른도시여가국 자연생태과장은 한국과 중국 모두 환경오염, 특히 대기오염 문제를 경험했다고 말했다. 이어 "두 나라는 같은 푸른 하늘 아래 있다면서" "우린 모래 먼지 리스크를 통제하기 위한 중국의 과학연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생각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