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 Issue Ⅱ]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한국이 잃어버릴 10년
[Social & Issue Ⅱ]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한국이 잃어버릴 10년
  • 김현해 기자
  • 승인 2014.09.05 11: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붕괴를 두려워한 지연책, 더 큰 혼란만 가중
[이슈메이커=김현해 기자]

[Social & Issue Ⅱ] 한국과 일본의 부동산 붕괴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한국이 잃어버릴 10년


붕괴를 두려워한 지연책, 더 큰 혼란만 가중





세계화에 따른 경제 구조의 변화와 인구 감소로 인한 1인 가구 급증, 초저금리에 따른 거품으로 지나치게 높아진 주택과 토지의 가격 등 1990년대 일본 경제는 커다란 위기를 맞았다. 거품경제가 붕괴되면서 ‘잃어버린 10년’을 보내야 했던 일본. 아직까지 불황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일본의 전처를 지금 우리나라가 밟고 있다. 심지어는 거품 붕괴시기에 남발된 무리한 부양책으로 검품 해소가 지연되고 있는 정부의 대처까지 비슷한 상황이다.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몰고 온 원인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진단할 필요가 있다.





한국과 일본의 부동산 붕괴


  1980년대 막대한 무역 흑자를 바탕으로 자금이 넘쳐났던 일본은 저금리 기조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금액이 은행에 쌓여만 갔다. 당시에 이른바 ‘쌍둥이 적자’에 시달리던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은 일본에 압력을 넣어 달러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일본 엔화를 절상하는 ‘플라자 합의’를 체결한다. 그때까지만 해도 미국을 상대로 막대한 무역 흑자를 기록해 오던 일본은 1년 동안 달러 대비 가치가 두 배로 뛰어오르면서 수출에 막대한 타격을 입게 된다. 이에 일본 정부는 금융 완화법을 제정, 기업들이 은행에서 쉽게 돈을 빌릴 수 있도록 기업을 지원했다. 또한 금리를 더욱 떨어뜨리고 통화량을 늘리는 경기 부양책을 시행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되자 시중에 넘쳐나게 된 자금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증권과 부동산 시장으로 쏟아져 들어갔다. 여기에 베를린 장벽 붕괴로 동유럽이 무너지고, 이에 따라 유럽이 막대한 경제 부담을 떠안으면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일본으로 해외 자본이 흘러들어와 거품을 부채질했다.


  우리나라의 거품경제도 이와 비슷하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 경제의 추락 시점에 들어선 김대중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저금리 정책과 대출완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나갔다. 이후 세계적인 글로벌 호황이 찾아오면서 해외 자금이 유입되고 점차 안정화되는 것 같았지만, 이러한 자금들은 기업의 설비투자보다는 증권과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갔다. 이에 따라 국내 부동산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수많은 자본가의 투기 대상이 되었다. 경제 전문가들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본과 한국의 거품경제 붕괴 상황은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일본의 당시 상황을 분석했다면 대비책을 찾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정부의 대처는 일본의 그것과 매우 흡사했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


▲1989년, 미쓰비시 지소 주식회사(일본 부동산 회사)가 약 2,200억 엔으로 구입한 록펠러 센터(뉴욕 맨해튼). 당시 일본기업에 의한 국외 부동산 구매의 상징적 건물이다.





일본의 전처를 되짚는 한국의 부양책


  거품경제를 타고 일본의 부동산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정부의 정책은 난개발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흘렀다. 낙후된 지방을 개발하기 위함이라는 명분의 리조트 법(1987)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비슷하게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단체마다 대규모 리조트와 골프장 개발에 나서면서 각종 국제 이벤트를 유치했다. 하지만 두 나라의 이러한 정부 대처는 오히려 부동산 가격을 폭등시켰으며, 이렇게 개발된 리조트와 골프장들 역시 개발 초의 호황이 무색할 정도로 현재 대부분 부도 위기를 맞고 있는 상태다.


  통화량을 억제하고 금리를 올리는 한편, 토지 거래에 매기는 세금을 올리고 부동산 관련 융자를 규제한 일본은 자연스럽게 상대적으로 부동산 가격과 임금이 저렴한 해외로 눈을 돌렸다. 이에 따라 국내 부동산 수요가 줄면서 시장에 매물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이것이 일본 ‘잃어버린 10년’의 신호탄이었다. 우리나라는 참여정부가 ‘버블 세븐’을 지목하면서 다양한 정책을 제시했지만 부동산 경제를 잡는 데 실패하면서 부동산 가격은 끝을 모르고 오르기만 했다. 그와 더불어 건설업계를 살리기 위해 추진된 신도시 개발은 이른바 ‘판교 로또’로 불리며 더 큰 부동산 폭등을 이끌었으며, ‘강남 불패’의 신화는 더욱 굳건해져만 갔다. 하지만 그때 이미 우리나라는 인구 증가 둔화와 고용 불안, 고령화 진행으로 수요층 없이 투기 수요로만 부동산 시장이 지탱되던 실정이었다. 결국 국내 부동산 시장은 무너질 수밖에 없는 모래 탑이었던 것이다.


  이에 관해 전문가들은 “근본적 문제는 부동산 가격이 가치 이상으로 크게 오른 것에 있는데, 정부는 그 근본 문제에 집중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시장 경제에서 한 품목의 가격이 오르다 한계에 다다르면 자연히 수요가 줄면서 가격이 조정되고 관련 기업들이 축소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양국의 정부는 건설기업과 유착, 난개발 정책을 펼쳐 물량을 쏟아는 방법으로 부동산 거품 조정을 꾀했다. 일본의 경제전문가 사이토 세이치로는 “90년대 일본 정부가 펼친 대대적 건설경기 부양책은 일시적인 효과에 그칠 뿐 진정한 원인 치료를 미룸으로써 도태되어야 할 기업까지 목숨을 연명해 일본 경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그의 이러한 분석이 없더라도, 우리는 일본의 경제 붕괴를 지켜봤으며 그들의 대처가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도 이미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우리 경제는 일본의 전철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니 한심한 일이다.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 점차 우리나라에도 다가오고 있음을 인식하고 하루빨리 근본적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1, 321호 (여의도동, 대영빌딩)
  • 대표전화 : 02-782-8848 / 02-2276-1141
  • 팩스 : 070-8787-897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손보승
  • 법인명 : 빅텍미디어 주식회사
  • 제호 : 이슈메이커
  • 간별 : 주간
  • 등록번호 : 서울 다 10611
  • 등록일 : 2011-07-07
  • 발행일 : 2011-09-27
  • 발행인 : 이종철
  • 편집인 : 이종철
  • 인쇄인 : 김광성
  • 이슈메이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슈메이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ess1@issuemaker.kr
ND소프트